1. 어떤 코인인가?
누사이퍼는 퍼블릭 블록체인 상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플랫폼입니다.
총 발행한도는 3,885,390,082 NU 이며 시가총액은 1.4조원(21.10.17일 기준)입니다.
KMS (Key Management System)으로 불리는 누사이퍼의 프로토콜을 통해 개발자들은 프라이빗 데이터를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관리, 저장 및 공유할 수 있습니다.
누사이퍼는 궁극적으로 모두가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취득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누사이퍼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레이어-2 PoS (Proof of Stake)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게 됩니다.
2. 어떻게 운영되나?
누사이퍼 네트워크는 PoS (Proof-of-Stake) 매커니즘을 활용하는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2 프로토콜 상에서 운영됩니다.
WorkLock이라는 노드 분배 매커니즘을 활용하며, 노드 운영자들은 이더리움을 스마트 컨트랙 상에 스테이킹하고 NU 토큰을 받아서 누사이퍼 노드 (Ursula)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후, 최소 락업 기간은 30일이며,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은 매Period (7일)마다 다시 스테이킹 됩니다.
3. 테스트 넷
누사이퍼는 두 개의 테스트 넷을 운영 중이며, 각자 다른 역할을 합니다.
Lynx: 네트워크 유저들을 위한 테스트 넷으로, 장기적 지원을 위한 퍼블릭
테스트 넷입니다. 이더리움의 Goerli 테스트 넷 상에서 운영 중입니다.
Ibex: 스테이킹 유저들, 노드 운영자들, 및 내부적 개발 목적을 위한 퍼블릭
테스트 넷입니다. 이더리움의 Rinkeby 테스트 넷 상에서 운영 중입니다.
4. 장점
-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보다 나은 트랜잭션, IoT 운영, 투표 매커니즘, 등을 위해 설계된 것과 달리, 누사이퍼는 다른 블록체인들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누사이퍼는 블록체인들을 위한 프라이버시 레이어입니다.
- PRE (Proxy Re-Encryption), TSS (Threshold Signatures), DKG (Distributed Key Generation) 등의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탈중앙화된 웹에 프라이버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 누사이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용자는 여러 명의 유저들에 대하여 조건부로 데이터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습니다.
누사이퍼의 암호화 서비스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기타 서비스 프로토콜들과
비교 불가한 높은 보안을 자랑합니다.
5. 차트
(유튜브 영상 참조)
6. 결론
(유튜브 영상 참조)
'암호 화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치네트워크] 업비트 신규상장. 거버넌스 토큰. (0) | 2021.11.07 |
---|---|
[이오스 EOS] 이더리움 킬러. 제3 암호화폐 (0) | 2021.11.03 |
[넴(XEM)] 일본의 국민 코인. 금융,교육,의료,게임 활용 (2) | 2021.09.12 |
[크립토닷컴체인(CRO)] VISA카트 파트너, 크립토닷컴페이 (0) | 2021.09.01 |
[펀디엑스(PUNDIX)] 가상화폐계의 페이팔,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1)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