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 화폐 분석

[이더리움 2.0] 이더리움 클래식과의 관계

개미특급열차 2022. 9. 12. 00:45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26o1FuRx5Y


1. 이더리움 2.0

출처: 이더리움 홈페이지

 비트코인 다음으로 영향력이 있는 코인을 꼽으라면 단연 이더리움을 꼽을 것입니다.
이런 이더리움의 단점이 바로 높은 수수료와 오래 걸리는 처리속도 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더리움은 채굴방식을 변경하기로 결정합니다.
이더리움 2.0의 가장 큰 포인트는 PoW에서 PoS로의 전환입니다.
이는 채굴방식의 변경을 뜻합니다.


2. 채굴방식

출처: 네이버 암호화폐 증명방식 이미지

 블록체인의 합의에는 작업증명 (PoW), 지분증명 (PoS), 위임 지분 증명 (dPoS), 비잔틴장애허용 (BFT)등 다양한 이론과 알고리즘이 존재합니다.
우리는 대표적인 작업증명 (PoW)와 지분증명 (Po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PoW 작업증명방식

출처: 네이버 암호화폐 증명방식 이미지

 작업을 증명함으로써 연산을 처리하는 하드웨어 (GPU,CPU,ASIC채굴기) 등을 사용하여 증명하는 방식입니다.
 즉,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 채굴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코인이 비트코인 (BTC), 이더리움 (ETH), 이더리움 클래식 (ETC) 등입니다.

 PoW의 방식은 채굴자들이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 결과를 도출합니다.
장점은 가격대 형성이 확실하게 정해져 있고, 보안성이 강하며, 서비스 남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채굴 난이도 상승시, 채굴 장비 가격도 상승되며 과도한 전력소모, 채굴풀 독점등이 있습니다.


4. PoS 지분증명방식

출처: 네이버 암호화폐 증명방식 이미지

 지분을 증명함으로써 채굴기 없이 자신이 보유한 코인의 지분을 통해 채굴되는 방식입니다.
퀀텀 (QTUM),  네오 (NEO)등이 있습니다.
 장점은 해시파워가 많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입니다.
블록 생산자의 탈중앙화로 안정성 확보되고, 지분 담보로 덤핑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코인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DB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서 지분이 많은 사람의 악의적인 공격에
블록체인이 위험할 수 있으며,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생깁니다.


5. 이더리움 2.0 업데이트

출처: 비탈릭 부테린 트위터

 이더리움 2.0. 업데이트가 9월 19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된다면 현재의 가스비 (수수료)가 보다 낮게 적용이 될 것입니다.
사실 이더리움은 비싼 가스비 때문에 다른 체인 예를 들면 솔라나, 팬텀등의 체인을 사용 했던 dapp들이 다시 이더리움으로 돌아올 확률이 높습니다.
 대부분의 dapp들이 이더리움 기반이 많기 때문에 다시 유저들이 많아 질 것이고, 플랫폼의 가치가 올라 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 이더리움 2.0의 실패

 

이더리움 2.0의 성공을 낙관하는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웨이브 개발자이자 ceo인 샤샤 이바노브는 실패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유는 기술이 구현되기까지 니자치게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그것은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신호라는 것입니다.
 복잡한 기술이 적용되면, 오류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기가 힘들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7. 이더리움 클래식

출처: Antpool

 이더리움을 채굴하던 유저들은 이더리움클래식을 바로 채굴 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또한 비트메인에서 운영하는 엔트폴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엔트폴은 전 세계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데, 미국의 Foundry 다음으로 높은 해시레이트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 엔트폴이 이더리움클래식을 지원하고 나섰습니다.
 엔트폴 역시 채굴 회사이며, 채굴을 해야 되는데 이더리움이 작업증명으로 채굴하지 않고 지분증명으로 넘어가면서, 이더리움클래식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8. 이더리움 2.0의 성공

출처: Etherplan

 이더리움 클래식 개발진의 일원이였으며, Etherplan에서 암호화폐에 관한 연구 및 기사를 쓰고 있는 도널드 매킨 타이어라는 사람이 쓴 글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이 시장에서 이더리움 1.0의 위치를 대체하고 비트코인과 함께 기본 계층 시스템으로 운영된다고 판단하는 만큼, 이더리움의 2.0으로의 성공적인 이주가 이더리움 클래식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PoS 시스템에 보완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프로그램 가능하기 때문에 기본 계층에서 
비트코인으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고, 그 가치는 약 1조 5천억 달러로 그 시스템의 50%를 맴돌 것이라고 했습니다.


9. 차트

(유튜브 영상 참조)


10. 결론

(유튜브 영상 참조)

 

728x90
반응형